CS 스터디

·CS 스터디
📍 이진 탐색 트리란?이진 탐색 트리는 이진 트리의 일종으로, 탐색에 최적화된 트리 구조입니다.이진 트리란 각 노드가 최대 두개의 자식을 가질 수 있는 트리 구조를 말합니다.💡 이진 탐색 트리의 주요 특징왼쪽 서브트리의 모든 값은 부모 노드의 값보다 작아야 한다.오른쪽 서브트리의 모든 값은 부모 노드의 값보다 커야 한다.각각의 서브트리 또한 이진 탐색 트리의 속성을 만족한다.이 규칙을 통해 이진 탐색 트리는 데이터를 정렬된 형태로 유지하며 탐색, 삽입, 삭제와 같은 연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이진 탐색 트리의 연산탐색 (Search) : O(log n) (평균), O(n) (최악)원하는 값을 찾을 때, 루트 노드에서 시작하여 현재 노드와 비교하면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탐색..
·CS 스터디
📍 HTTP 통신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HTTP 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주로 HTML과 같은 Hyper Text 문서를 주고 받기 위해 만들어졌고, 최근에는 HTML 뿐 아니라 모든 웹 관련 API 통신에 이용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HTTP 프로토콜은 비연결성과 무상태성의 특징을 가지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그렇다면 비연결성과 무상태성이란 무엇인가요?비연결성을 가지는 HTTP 에서는 실제로 요청을 주고 받을 때만 연결을 유지하고 응답을 주고 나면 TCP/IP 연결을 끊습니다. 이를 통해 최소한의 자원으로 서버 유지를 가능하게 합니다.무상태성은 프로토콜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기억하지 않습니다.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관하기 위해 쿠키나 세션, JWT 토큰 등..
·CS 스터디
📍 IPv4 란?IPv4는 32비트 방식입니다.따라서 4개로 그룹으로 나누어지며, 각 그룹은 8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비트 수에 따라 개수가 정해지므로 2의 32승인 43억개의 주소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A, B, C, D, E 클래스로 주소를 할당합니다.A 클래스32비트 중 앞 8비트를 네트워크 ID로, 다음 24비트를 호스트 ID로 나눈 것할당 가능한 IP 주소의 범위: 0.0.0.0 ~ 127.255.255.255 첫번째 비트가 0인 IP 주소B 클래스32비트 중 앞 16비트를 네트워크 ID로, 다음 16비트를 호스트 ID로 나눈 것할당 가능한 IP 주소의 범위: 128.0.0.0 ~ 191.255.255.255처음 두 비트의 값이 10인 IP 주소C 클래스32비트 중 앞 24비트를 네트워크 ..
·CS 스터디
📍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란?🔮 데이터 모델링현실 세계에서 발생하는 자료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물리적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해 특정 DBMS가 지원하는 논리적 구조로 변환시키는 과정입니다.개념 세계의 데이터를 필드로 기술된 데이터 타입과 이 데이터 타입들 간의 관계로 표현되는 논리적 구조의 데이터를 모델화합니다.개념 스키마를 평가 및 정제하고 DBMS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적 스키마를 설계하는 단계입니다.트랜잭션의 인터페이스 설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면 테이블을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논리적 설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주요 작업E-R 다이어그램의 릴레이션 스키마 변환논리적 설계의 첫번째 작업은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작성된 E-R 다이어그램을 릴레이션 스키마로 변환하는..
·CS 스터디
📍 뷰(View) 란?뷰는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이름을 가지는 가상 테이블입니다.뷰는 저장장치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사용자에게 있는 것처럼 간주됩니다.뷰는 데이터 보정작업, 처리과정 시험 등 임시적인 작업을 위한 용도로 활용됩니다.뷰는 조인문의 사용 최소화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최대화합니다. 📍 뷰(View)의 특징뷰는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테이블이기 때문에 기본 테이블과 같은 형태의 구조를 사용하며, 조작도 기본 테이블과 거의 같습니다.뷰는 가상 테이블이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구현되어 있지 않습니다.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필요한 데이터만 뷰로 정의해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고 ..
·CS 스터디
📍 데이터베이스 회복 기법이란?데이터베이스 회복 기법은 시스템 오류, 하드웨어 장애, 소프트웨어 버그, 또는 기타 예기치 않은 문제로 인해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를 일관된 상태로 복구하는 일련의 절차와 기술입니다.즉, 손상된 데이터베이스를 손상되기 이전의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시키는 작업을 말합니다. 📍 REDO 와 UNDO 란? RedoUndo정의커밋된 트랜잭션의 변경 사항을 재적용하는 연산커밋되지 않은 트랜잭션의 변경 사항을 되돌리는 연산사용 시기시스템 장애 발생 후 복구 시트랜잭션 실패 또는 시스템 장애 발생 후 복구 시주요 기능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된 커밋된 변경 사항을 복구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된 커밋되지 않은 변경 사항을 원래 상태로 복원작업 방향Forward Recovery: ..
수방방
'CS 스터디' 카테고리의 글 목록